![](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vIXRi/btqBEAsOl6c/nlNiTKPzsndZfAnQmR7rNK/img.jpg)
안녕하세요 옴닉맨입니다. 오늘은 말이쥬 가끔 사람들이 가장 오해하는 부분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컴퓨터를 주문했습니다. 요즘 보통은 직접 매장에 가서 사거나(S사라던지, L사 또는 하이~매장에서) 하시는 분들은 거의 없고 인터넷으로 조립PC를 많이 구매하는 편이신데 이게 컴퓨터에 대해서 많은 지식을 가지지 않더라도 요즘은 다 조립되어서 PC가 도착하니까 그냥 파워선, LAN케이블, 마우스/키보드USB, 모니터 선 꽂아서 사용하시는데 읭? PC는 전원은 들어오는데 모니터만 깜깜... 모니터에 한 줄 뜨긴 뜨죠 "입력 신호가 없어서 종료됩니다." 하... 그러면 사람들이 분노합니다. 왜! 조립을 이렇게 해 와서 쓰기도 전에 고장이 난거냐 키보드 쾅쾅 내려치면서 화를 내시죠 그러나 생각해보면 조립 하시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ACoi/btqBHxup6gH/OYw7Y7x1Jjs4CWvzCEkgvk/img.jpg)
MAX 2013이 윈도우 10에서 호환이 안된다 라고 적고 .NET Framework 3.5 윈도우 10설치라고 한다. 안녕하세요 옴닉맨입니다. Automax 2015버전 이하부터는 윈도우 8 및 10 이하에서는 호환이 안된다는 것에 .NET Framework 3.5를 설치하면 가능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 10에서 .NET Framework 3.5를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 .NET Framework 3.5가 필요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려고 하면 대화 상자가 표시 될 겁니다. 2.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윈도우 검색창에서 "Windows 기능"을 입력합니다. 4. .NET Framework 3.5(.NET 2.0 및 3.0 포함) 확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zi5v/btqBHzej55s/jnOe7LnXDDb2E25kozhmEK/img.jpg)
안녕하세요. 옴닉맨입니다. 요즘 너무 정신이 없어서 오랜만에 글을 포스팅 해보네요. 요 몇일 CloudNet 떄문에 여기저기서 뭐 해달라 저거 해달라 소리 많이 들어서 고생 좀 했는데요 이번에는 또 다른 악성코드가 저를 찾아왔습니다. 근데 이 놈은 좀 간편합니다. 별로 잘 모르겠어요 일단 들어가 봅시다. 이 악성코드로 말하자면 정말 우.연.히 발견한 악성코드입니다. 회사에서 심심해서 %appdata%를 열어보는 도중에 ?! 이상한 폴더를 만나게 되었던 것이죠. 도대체 어떠한 의미인지 알 수도 없는 괴상한 이름의 폴더를 발견한 옴닉맨. 그냥 넘어갈 수 없죠(회사에서 시간 때울 것만 찾던 옴닉맨에게 딱걸림 ㅋㅋ) 읭? 왠 아조씨가 있네? ㅋㅋㅋ 딱 봐도 수상한 생김새 폴더도 그렇고 파일 이름도 wvjawxi..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Jq7d/btqBtLHhFyD/dGs6ozv154PYjApPaw16Zk/img.jpg)
안녕하세욤 옴닉맨입니다. 오늘은 PC 수리일지 사건번호 004에서 다루었던 CloudNet 악성프로그램 제거에 관해서 미숙한 점(재부팅 후에 완전히 삭제되지 않고 계속 생성되는 현상)을 보완하려고 사건번호 004(2)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사건번호 004(2) : CloudNet 감염 여부 확인은 제어판에서나 작업관리자 속 프로세스 상에서 CloudNet win 32 * 이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염 경로는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플러그인과 함께 무료 프로그램, 툴바 및 확장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때 설치됩니다. 추적 후 확인 결과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상에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에 CloudNet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QElQ3/btqBoPiAVvN/yKoc4eBQI5fCQJQDPM1oXk/img.jpg)
제어판에서 마치 정상적인 프로그램인 마냥 숨어있다가 막상 지우려고 하면 시뻘건 독을 뿜어내는 CloudNet 악성프로그램 안녕하세요 옴닉맨입니다. 오늘 빈 강의장 PC 점검을 돌고 있는데 20자리 정도 되는 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이 CloudNet이라는 놈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제어판에 떡하니 나와있는데 '제거'를 하게 되면 CMD(명령 프롬프트)에 빨간 러시아어가 뜨면서 삭제가 진행되지 않더라구요;; (+0+) 아 그래서 옴닉맨 오늘은 다른 회사일을 제쳐두고 이 CloudNet 요놈을 지우는 방법을 골똘히 연구해 봤습니다. CloudNet... 요즘 클라우드 라는 단어 많이 사용하는데요 그래서 CloudNet이라고 교묘한 단어 선택을 통해서 마치 사용자로 하여금 (Hi~ 난 정상 프로그램이야 ㅎㅎ)..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GcnV/btqBGYy4waT/eKAEI0ESDv9VnaovBWNIik/img.jpg)
안녕하세요. 옴닉맨입니다. 오늘은 회사에서 어떤 일이 있었냐면요. 저에게 컴퓨터 견적 3개를 뽑아서 3개를 비교해서 어떤 컴퓨터를 고르는게 제일 현명한지 알려달라는 학생분이 계셨습니다. 퇴근을 3분 남기고 나온 질문에 '내일 봐드릴게요' 하고 RUN 한 옴닉맨 생각나는건 L로 시작하는 대기업 컴퓨터 3대 였다는 것 말고는 별로 없습니다만 제가 왜 내일 봐드린다고 했는지 아실분도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일단 구입 방법 부터 상당히 비용적으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는 보통 삼, L, A 로 시작하는 대기업의 제품을 사용합니다. 그것은 왜냐하면 이 회사들 말고는 구입처가 없기 때문이지요. 일단 우리는 스마트폰의 부품을 일일이 구입할 수도 없고 구한다고 해도 적절한 케이스에 그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g4Vzb/btqA0NLB32S/m3rmEdnkd68usAk1oqbKI1/img.jpg)
안녕하세요. 옴닉맨입니다. 오늘은 선생님이 학생 컴퓨터 한 대를 들고 오셨습니다. 파워 전원이 들어왔다 나갔다 한다는 건데. 일단 확인 한 번 해보겠습니다. 전에 사건번호 002를 참조하면 PC 전원이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현상에 대해서 설명해 놓은 부분이 있습니다. 참고로 이번 상황 같은 경우는 메모리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똑같은 증상이 반복되어서 결국 여분의 파워 서플라이로 교체를 했습니다. PC 전원은 매우 잘 들어오는데 문제는 블루스크린이 뙇! 사람의 심장을 벌렁거리게 만드는 블루스크린 다들 당황 할 수 밖에 없는데요 이 블루스크린 절때 무서운 것이 아니랍니다. 먼저 찬찬히 블루스크린을 들여다 보시면 코드값이 보입니다. 이번에 보인 코드값이 만약 0x000007b라면 단순하게 이렇게 해결하시면 됩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e5NHA/btqA2bLJZcm/w72FxhVboyHKbOHbwIfeT1/img.jpg)
안녕하세요 옴닉맨입니다. 오늘은 선생님이 강의실 컴퓨터 한대를 맡겼습니다. 증상을 보아하니 PC 전원을 누르면 전원이 들어왔다가 바로 꺼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게다가 파워선을 꽂아 놓으면 전원 버튼을 따로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파워가 들어왔다 나갔다 난리(--__--;;) 상태를 보아하니 파워 서플라이가 문제가 있는 것 같았는데. 문제는 파워 서플라이를 교체하려면 슬림형 PC라 메인보드까지 다 들어내서 빼야한다는 게 엄청 귀찮아 보이더군요. 그래서 일단 다른 가능성 부터 테스트 했습니다. 파워 전원이 문제가 있으면 파워 서플라이가 1번으로 생각 나는게 당연하겠지만 생각외로 메모리 접촉 불량이면 이런 증상이 많습니다. 그래서 메모리를 제거하고 전원을 눌렀더니 됩니다. 다행히 서플라이 교체 없이 메모리 문..